전통 조경식재에 사용된 나무
조경식재로서 소나무, 대나무, 측백나무, 동백나무와 계절미를 취할수 있는 낙엽활엽수가 애용되었다
꽃이피는 화목류와 과실수가 주종을 이루었고
꽃 색깔의 경우 흰색이나 주앙을 상징하는 노란색이 많이 사용되었다
매화, 황매화, 모란,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살구나무, 배나무,
석류, 포도, 배롱나무, 철쭉, 국화, 연, 뽕나무, 버드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벽오동등이 활용 되었다.
조선중기이후 과실나무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풍수지리, 음양사상, 유교사상에 의한--소나무, 매화, 대나무, 난, 연꽃
안빈낙도-- 국화, 버드나무, 복숭아 나무
은둔사상, 태평성대 희구사상-- 오동나무, 대나무
화오와 화계의 초화류- 매화, 앵두, 작약, 난초, 철쭉, 국화
경계표시(담)-- 대나무, 향나무, 주목, 측백, 사철나무
울타리--대추나무, 탱자나무, 무궁화, 대나무, 국화





10개(1/1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10 | 방위 따라 나무 심는법-수목으로 풍수의 사신사를 만든다. [1+1] | 단초(丹草) | 29708 | 2012.12.29 16:35 |
9 | 집마당안에 큰나무를 심는것을 금기시 한다. | 단초(丹草) | 37595 | 2012.12.29 16:20 |
8 | 경복궁 창덕궁의 수목 | 단초(丹草) | 17892 | 2012.12.29 15:56 |
7 | 고려시대의 조경수 및 화훼류 | 단초(丹草) | 17988 | 2012.12.29 15:19 |
>> | 전통 조경식재에 사용된 나무 | 단초(丹草) | 20933 | 2012.12.10 22:54 |
5 | 정원 구조물 용어정리 | 단초(丹草) | 18075 | 2012.12.10 22:33 |
4 | 기념식재로 활용된 사례 | 단초(丹草) | 14053 | 2012.12.10 22:06 |
3 | 수목을 심는 방식 | 단초(丹草) | 17733 | 2012.12.10 22:03 |
2 | 솟대 | 단초(丹草) | 14044 | 2012.12.10 21:23 |
1 | 장승의 의미 | 연구소장 | 14158 | 2012.12.10 21:10 |
회원 로그인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