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의 종류 _ 육십갑자와 납음오행
3. 육십갑자와 납음오행
육십갑자란 천간 10개의 가지수와 지지 12개의 가지수가 서로 조합하여 60개의 단위조합이 이루어진다.
천간의 1번과 지지의 1번, 천간의 2번 지지의 2번 이렇게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나가면 천간은 10개의 수이고 지지는 12개의 수이므로 지지의 11번은 천간의 다시 1번과, 지지12번은 천간의 2번과 조합하게 되어 다시 천간1번과 지지1번이 만나게 되면 61번째 다시 만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전체의 조합수는 60개가 되며 육십갑자라고 한다.
천간 과 지지의 각각의 오행이 있으나 천간과 지지가 조합되면서 조합된 개체에 또다른 오행이 부여되는데 이것을 납음오행이라고 하며 그 원리는 상수학이 발달하면서 숫자로 점을 치면서부터 발생한 것입니다.
납음오행의 원리를 보겠습니다.
선천수
간지 |
甲己子午 |
乙庚丑未 |
丙辛寅申 |
丁壬卯酉 |
丁壬卯酉 |
巳亥 |
선천수 |
9 |
8 |
7 |
6 |
5 |
4 |
납음오행은 선천수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갑자을축이면 갑9+자9+을8+축8=34, 기본수 34가 나옵니다.
대연수 50에서 태극 1수를 제하면 49이니 49에서 갑자을축의 합수 34를 빼면 15가 남게 됩니다. 이 15수를 5로 나누면 나머지가 없으므로 5가 나머지수가 됩니다.
이 나머지 수에 따른 오행이 있는데 1=水, 2=火, 3=木, 4=金, 5=土입니다.
나머지 수에 해당하는 오행이 생하는 오행이 납음오행이 됩니다.
나머지수 5에 해당하는 土가 생하는 金, 즉 土生金의 원리로 갑자을축의 납음오행은 金이 되는 것입니다.
병인정묘는 병7+인7+정6+묘6=26 49-26=23 이므로 23을 5로제하면 3이 나머지수가됩니다. 3은 木이므로 木生火 하여 병인정묘의 납음오행은 火입니다.
[60갑자 납음오행]
甲子 乙丑 |
해중금 海中金 |
丙寅 丁卯 |
노중화 爐中火 |
戊辰 己巳 |
대림목 大林木 |
庚午 辛未 |
노방토 路傍土 |
壬申 癸酉 |
검봉금 劍鋒金 | ||||||||
甲戌 乙亥 |
산두화 山頭火 |
丙子 丁丑 |
간하수 澗下水 |
戊寅 己卯 |
성두토 城頭土 |
庚辰 辛巳 |
백납금 白蠟金 |
壬午 癸未 |
양류목 楊柳木 | ||||||||
甲申 乙酉 |
천중수 泉中水 |
丙戌 丁亥 |
옥상토 屋上土 |
戊子 己丑 |
벽력화 霹靂火 |
庚寅 辛卯 |
송백목 松柏木 |
壬辰 癸巳 |
장류수 長流水 | ||||||||
甲午 乙未 |
사중금 砂中金 |
丙申 丁酉 |
산하화 山下火 |
戊戌 己亥 |
평지목 平地木 |
庚子 辛丑 |
벽상토 壁上土 |
壬寅 癸卯 |
금박금 金箔金 | ||||||||
甲辰 乙巳 |
복등화 覆燈火 |
丙午 丁未 |
천하수 天河水 |
戊申 己酉 |
대역토 大驛土 |
庚戌 辛亥 |
채천금 釵釧金 |
壬子 癸丑 |
상자목 桑柘木 | ||||||||
甲寅 乙卯 |
대계수 大溪水 |
丙辰 丁巳 |
사중토 沙中土 |
戊午 己未 |
천상화 天上火 |
庚申 辛酉 |
석류목 石榴木 |
壬戌 癸亥 |
대해수 大海水 |
납음오행의 산출방법에 대하여 천기대요에서는 두가지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위에서 설명한 선천수에 의한 방법이고 둘째는 납음(納音)으로 그 본성의 音을 받아 들여서 오행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火: 火는 본시 그 자체의 음이 없으므로 水를 加한 뒤에야 音(微音)을 내므로 1인 水를 얻으면 火가 됩니다.
土: 土는 울리는 곳이 없어서 火로서 단련을 받은 뒤에야 音(宮音)을 내므로 2인 火를 얻으면 土가 됩니다.
木: 木은 나무기리 부딪치면 스스로 발성(發聲)하며 각음(角音)을 내므로 3인 木을 얻으면 그대로 木이 됩니다.
金: 金은 쇠가 쇠를 부딪치면 자체의 소리인 상음(商音)을 내므로 4인 金을 얻으면 그대로 金이 됩니다.
水: 水는 土가 아니면 소리를 내지 못하므로 土를 만나 우음(羽音)을 내므로 5인 土를 얻으면 水가 됩니다.
나머지수 |
1(水) |
2(火) |
3(木) |
4(金) |
5(土) |
납음오행 |
火 |
土 |
木 |
金 |
水 |
예를 들어
병인정묘는 병7+인7+정6+묘6=26이 되므로 26을 5로 나무면 나머지가 1이 됩니다. 1은 水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납음오행은 火가 됩니다.
경오신미는 경8+오9+신7+미8=32가 되므로 32를 5로 나누면 나머지가 2가 됩니다. 2는 火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납음오행은 土 가 됩니다.
갑자을축의 납음오행은 金인데 해중금(海中金)이라고 표현한 것은 천간 甲과乙 그리고 지지 子와 丑의 성질을 보고 자연에서 그 형상을 취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20 |
정음정양법 및 구성법
![]() ![]() |
老+乙 子 | 12726 | 2012.01.05 13:04 |
19 |
십이포태법원리 및 십이포태 운용법
![]() ![]() |
老+乙 子 | 6957 | 2012.01.05 12:58 |
18 |
지지의 합충변화_형,파,해,원진,공망
![]() ![]() |
老+乙 子 | 21069 | 2012.01.05 12:50 |
17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충
![]() ![]() |
老+乙 子 | 6361 | 2012.01.05 12:43 |
16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육합및 암합
![]() ![]() |
老+乙 子 | 15299 | 2012.01.05 12:40 |
15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방합
![]() ![]() |
老+乙 子 | 14888 | 2012.01.05 12:32 |
14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삼합
![]() ![]() |
老+乙 子 | 11805 | 2012.01.05 12:26 |
13 |
천간과 지지의 합과 제의 변화
![]() |
老+乙 子 | 13479 | 2012.01.05 12:20 |
12 |
오행의 성질과 작용_오행의 상생상극
![]() ![]() |
老+乙 子 | 13556 | 2012.01.05 12:15 |
11 |
오행의 성질과 작용_오행의 특성
![]() |
老+乙 子 | 13568 | 2012.01.05 12:04 |
10 | 오행의 종류 _홍범오행 | 老+乙 子 | 11223 | 2012.01.05 12:03 |
>> | 오행의 종류 _ 육십갑자와 납음오행 | 老+乙 子 | 7785 | 2012.01.05 12:02 |
8 |
오행의 종류 _천간과 지지
![]() ![]() |
老+乙 子 | 11982 | 2012.01.05 12:01 |
7 | 역의 기본원리_육십사괘 | 老+乙 子 | 10232 | 2012.01.05 11:57 |
6 | 역의 기본원리_사상과 팔괘 | 老+乙 子 | 3830 | 2012.01.05 09:59 |
5 |
역의 기본원리_선천괘와 후천괘
![]() ![]() |
老+乙 子 | 15619 | 2012.01.05 09:43 |
4 |
역의 기본원리_하도와 낙서
![]() ![]() |
老+乙 子 | 15621 | 2012.01.05 09:40 |
3 | 역의 기본원리_음양오행 | 老+乙 子 | 10072 | 2012.01.05 09:31 |
2 |
역의 기본원리_음양오행의 개요 및 태극
![]() ![]() |
老+乙 子 | 12646 | 2012.01.05 09:30 |
1 |
진리는 아주 쉬운곳에 있다
![]() ![]() |
老+乙 子 | 9197 | 2011.12.19 14: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