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의 성질과 작용_오행의 상생상극
2. 오행의 상생 상극
봄에서 여름으로 여름에서 가을 가을에서 겨울로 가는 것이 상생의 법칙이다
오행은 서로 생(生)한다. 수(水)는 목(木)을 생하고, 목(木)은 화(火)를 생하며, 화(火)는 토(土)를 생하며, 토(土)는 금(金)을 생하고, 금(金)은 수(水)를 생 한다.
이것은 물이 나무를 살리고, 나무를 불을 살리며, 불은 흙을 풍요롭게 하고, 흙은 쇠를 잉태하며, 쇠는 물을 낳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오행은 서로 극(剋)하기도 한다. 목(木)은 토(土)를 극하고, 토(土)는 수(水)를 극하고, 수(水)는 화(火)를 극하며, 화(火)는 금(金)을 극하고, 금(金)은 목(木)을 극한다.
이것은 나무는 흙에 뿌리를 두고 올라오고, 흙은 물을 막으며, 물은 불을 끄고, 불은 쇠를 녹이며, 쇠는 나무를 자르는 것과 같다.
3. 오행의 상생
생(生)에는 자생(資生)•조장(助長)한다는 뜻이 들어 있다.
오행의 생,극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즉 힘의 균등함을 전제로 한 생,극 관계를 의미한다.
생 하는 것은 모(母)라고 하고 생 하여지는 것은 자(子)라 한다. 즉 목생화(木生火)의 경우 목은 화의 모(母)가 되고 화는 목의 자(子)가 되는 것이다.
![]() |
목 생 화(木生火)
화 생 토(火生土)
토 생 금(土生金)
금 생 수(金生水)
수 생 목(水生木) |
4. 오행의 상극
극(克)에는 억제·제약한다는 뜻이 들어 있다.
금 극 목(金剋木) 목 극 토(木剋土) 토 극 수(土剋水) 수 극 화(水剋火) 화 극 금(火剋金)
5.오행의 상승(相乘)
승(乘)이란 허한 틈을 타고 침입한다는 뜻으로서 지나친 억제를 가리킨다. 즉, 극함이 지나치다
6.오행의 상모(相侮)
모(侮)에는 자신의 강함을 믿고 약한 것을 깔보며 모욕한다는 뜻이 있다.
상생과 상극은 정상적인 상황하에서 매우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즉, 생(生)함이 없으면 성장이 되지 않고, 극(克)함이 없으면 정상적인 변화와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는 생(生)하는 가운데 극(克)함 이 있고, 극(克)하는 가운데 생(生)함이 있어야 상호간의 협조가 유지되어 끊임없는 운행(運行)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승과 상모는 사 물이 발전·변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현상을 말한다.
오행 귀류(五行歸類)는 모든 사물을 그 특성에 따라 다섯 가지 상(象 )으로 분류하되, 기본적으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 )라는 추상적 속성으로 개괄하여 귀속시킨 것이다.
7. 오행의 생극제화
한난조습(寒暖燥濕)은 생극제화(生剋制化)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陰陽의 균형(均衡)이 맞지 않는다면 五行의 상생(相生)도 상극(相剋)도 제화(制化)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난(寒暖)은 天干의 문제로 成敗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대부분 시기(時期)를 맞추지 못하는 것에서 발생하는 것이 된다.
조습(燥濕)은 地支의 문제로 길흉(吉凶)의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주로 환경적 불만이 주된 원인 되게 된다.
8. 오행이 편중 되는 경우
木이 많으면 水는 窮乏해지고 土는 붕괴하니 金의 剋이 있으면 土는 수려해지고 水는 넉넉하게 되며 木은 동량의 기둥이 된다.
火가 많으면 木이 焚滅하고 金은 녹아 내리니 水의 剋이 있으면 金은 모습을 갖추며 화염은 분수를 알게 되고 木은 자신을 지킬 수 있게 된다.
土가 많으면 金은 묻히고 水의 흐름이 멈추나 木의 剋이 있으면 金은 자리를 지키게 되고 水는 주유하게 되며 土는 위엄을 갖추게 된다.
金이 많으면 水는 濁, 木은 상처를 입게 되니 火의 剋이 있으면 水는 自淨作用이 살아나며 木은 상향하니 바르게 서게 되고 金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水가 많으면 木은 썩거나 떠내려가고 火는 꺼져 버리니 土의 剋이 있으면 木은 뿌리를 내리게 되고 火는 위상이 살아나며 水는 조용해진다.
9.정 리
발산(發散) 확장(擴張) 수렴(收斂) 숙살(肅殺) 수장(收藏)
목(木)의 성장(成長)을 도와 바르게 서게 하고(인(仁))
화(火)의 팽창(膨脹)을 조율하여 밝음을 만들고(예(禮))
금(金)의 숙살(肅殺) 기운을 조절하여 분리와 구분을 바르게 만들며(의(義))
수(水)의 수장(收藏)하는 기운을 이끌어 (지(智)) 기운을 만든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20 |
정음정양법 및 구성법
![]() ![]() |
老+乙 子 | 12786 | 2012.01.05 13:04 |
19 |
십이포태법원리 및 십이포태 운용법
![]() ![]() |
老+乙 子 | 6969 | 2012.01.05 12:58 |
18 |
지지의 합충변화_형,파,해,원진,공망
![]() ![]() |
老+乙 子 | 21131 | 2012.01.05 12:50 |
17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충
![]() ![]() |
老+乙 子 | 6378 | 2012.01.05 12:43 |
16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육합및 암합
![]() ![]() |
老+乙 子 | 15352 | 2012.01.05 12:40 |
15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방합
![]() ![]() |
老+乙 子 | 14947 | 2012.01.05 12:32 |
14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삼합
![]() ![]() |
老+乙 子 | 11861 | 2012.01.05 12:26 |
13 |
천간과 지지의 합과 제의 변화
![]() |
老+乙 子 | 13531 | 2012.01.05 12:20 |
>> |
오행의 성질과 작용_오행의 상생상극
![]() ![]() |
老+乙 子 | 13621 | 2012.01.05 12:15 |
11 |
오행의 성질과 작용_오행의 특성
![]() |
老+乙 子 | 13624 | 2012.01.05 12:04 |
10 | 오행의 종류 _홍범오행 | 老+乙 子 | 11278 | 2012.01.05 12:03 |
9 | 오행의 종류 _ 육십갑자와 납음오행 | 老+乙 子 | 7801 | 2012.01.05 12:02 |
8 |
오행의 종류 _천간과 지지
![]() ![]() |
老+乙 子 | 12054 | 2012.01.05 12:01 |
7 | 역의 기본원리_육십사괘 | 老+乙 子 | 10288 | 2012.01.05 11:57 |
6 | 역의 기본원리_사상과 팔괘 | 老+乙 子 | 3842 | 2012.01.05 09:59 |
5 |
역의 기본원리_선천괘와 후천괘
![]() ![]() |
老+乙 子 | 15691 | 2012.01.05 09:43 |
4 |
역의 기본원리_하도와 낙서
![]() ![]() |
老+乙 子 | 15679 | 2012.01.05 09:40 |
3 | 역의 기본원리_음양오행 | 老+乙 子 | 10117 | 2012.01.05 09:31 |
2 |
역의 기본원리_음양오행의 개요 및 태극
![]() ![]() |
老+乙 子 | 12703 | 2012.01.05 09:30 |
1 |
진리는 아주 쉬운곳에 있다
![]() ![]() |
老+乙 子 | 9248 | 2011.12.19 14: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