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과 지지의 합과 제의 변화
10. 천간지지의 합(合)과 제(制)의 변화
1) 천간
세상의 만물(萬物)의 음양(陰陽)의 질적(質的)인 비율은 항상 같다.
양(陽)이 성(盛)한 곳에 음(陰)이 쇠(衰)하고 음(陰)이 성(盛)한 곳에는 양(陽)이 쇠(衰)하다. 양(陽)이 성(盛)해지면 음(陰)이 줄어들어 질량적 또는 에너지적인 면에서 음(陰)이 사라진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음양(陰陽)의 성쇠(盛衰)로 구분
갑(甲) 을(乙) 병(丙) 정(丁)무(戊)는 양(陽)의 성장(成長) 과정이고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는 음(陰)의 성장과정이라 할 수 있다.
오행(五行)의 개체(個體)로 구분
갑(甲) 병(丙) 무(戊) 경(庚)임(壬)은 양(陽)이 되고
을(乙) 정(丁) 기(己) 신(辛) 계(癸)는 음(陰)이 된다.
한난(寒暖)으로 구분
병화(丙火)를 중심으로 갑(甲)을(乙)정(丁)무(戊)는 난(暖)하다
계수(癸水)를 중심으로 기(己)경(庚)신(辛)임(壬)은 한(寒)한 기운(氣運)
이중에서 병화(丙火) 양중의 최위 계수(癸水)는 음중의 최위다.
2) 지지
지지의 지(支)는 가지(지조,枝條)의 의미로 열두 종류이므로 십이지지(十二地支) 또는 십이지(十二支)라고 하며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이다.
[支]는 分支의 意味를 가지고 있다.
옛 사람들이 처음 달(月)을 기록할 때 달이 차고,기우는(월영후,月盈虧) 것을 기준으로 하여 일개월로 하였다.
음양속성으로 보면 日은 陽이고, 月은 陰이며,陽은 天이 되고, 陰은 地가 된다.
따라서 [支]를 地支라고 하는 것이다.
십이지의 차례는 십간과 동일한 뜻이 있고 특히 사물이 매월마다 발전하여 미세함에서 무성하게 되고 성하면 다시 쇠하여 반복적으로 변화 발전해 가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20 |
정음정양법 및 구성법
![]() ![]() |
老+乙 子 | 12786 | 2012.01.05 13:04 |
19 |
십이포태법원리 및 십이포태 운용법
![]() ![]() |
老+乙 子 | 6969 | 2012.01.05 12:58 |
18 |
지지의 합충변화_형,파,해,원진,공망
![]() ![]() |
老+乙 子 | 21131 | 2012.01.05 12:50 |
17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충
![]() ![]() |
老+乙 子 | 6378 | 2012.01.05 12:43 |
16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육합및 암합
![]() ![]() |
老+乙 子 | 15352 | 2012.01.05 12:40 |
15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방합
![]() ![]() |
老+乙 子 | 14947 | 2012.01.05 12:32 |
14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삼합
![]() ![]() |
老+乙 子 | 11861 | 2012.01.05 12:26 |
>> |
천간과 지지의 합과 제의 변화
![]() |
老+乙 子 | 13532 | 2012.01.05 12:20 |
12 |
오행의 성질과 작용_오행의 상생상극
![]() ![]() |
老+乙 子 | 13621 | 2012.01.05 12:15 |
11 |
오행의 성질과 작용_오행의 특성
![]() |
老+乙 子 | 13624 | 2012.01.05 12:04 |
10 | 오행의 종류 _홍범오행 | 老+乙 子 | 11278 | 2012.01.05 12:03 |
9 | 오행의 종류 _ 육십갑자와 납음오행 | 老+乙 子 | 7801 | 2012.01.05 12:02 |
8 |
오행의 종류 _천간과 지지
![]() ![]() |
老+乙 子 | 12054 | 2012.01.05 12:01 |
7 | 역의 기본원리_육십사괘 | 老+乙 子 | 10289 | 2012.01.05 11:57 |
6 | 역의 기본원리_사상과 팔괘 | 老+乙 子 | 3842 | 2012.01.05 09:59 |
5 |
역의 기본원리_선천괘와 후천괘
![]() ![]() |
老+乙 子 | 15691 | 2012.01.05 09:43 |
4 |
역의 기본원리_하도와 낙서
![]() ![]() |
老+乙 子 | 15679 | 2012.01.05 09:40 |
3 | 역의 기본원리_음양오행 | 老+乙 子 | 10117 | 2012.01.05 09:31 |
2 |
역의 기본원리_음양오행의 개요 및 태극
![]() ![]() |
老+乙 子 | 12703 | 2012.01.05 09:30 |
1 |
진리는 아주 쉬운곳에 있다
![]() ![]() |
老+乙 子 | 9248 | 2011.12.19 14: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