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육합및 암합
(3)
지지육합(地支六合)은 음과 양의 합으로 그 원리는 양은 순행을 하며 음은 한 궁위 뒤에서 역행하는 원리에서 짝을 이루는 지지끼리 합이 되는 것을 말한다.
子 + 丑 = 合 → 土 寅 + 亥 = 合 → 木 卯 + 戌 = 合 → 火 辰 + 酉 = 合 → 金 巳 + 申 = 合 → 水 午 + 未 = 合 → 火, 土
위와 같이 합이 되나 지지의 특성상 무형의 천간과는 달리 지지에는 물질적 성향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지지는 합을 이루어도 본성을 잃지는 않는다. 형질적, 물질적 성향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 위해 선현들께서는 12지지에 동물들을 배속 시켰다. 육합의 의미는 음양 짝의 배합이기 때문에 개인적, 사적의 만남을 의미하여 혼인이나 배우자와의 관계를 많이 의미한다.
午未가 합해도 오행이 변하지 않는 것은 午는 해(日)요 未는 달(月)이니 하늘에서는 日月이 음양으로써 부부와 같이 인연을 맺는다. 해와 달이 합쳐서 하늘을 형성하나 午未는 합할뿐 그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六合은 대자연의 順理를 따라서 남녀가 결합하는 이치와 같아서 사주에 合이 있거나 많으면 다정다감함이 있고 사교성이 있다. 또한 이 육합의 변화로 애인이 생길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 또는 언제 생기는지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①지지의 합이란 서로가 서로를 拘縛(구박)한다는 의미이다.
②지지의 합은 반드시 인접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년지와 월지, 월지와 일지, 일지와 시지만이 합을 하는 것이며, 년지와 일지, 년지와 시지, 월지와 시지등은 합의 관계일지라도 합의 작용은 없다.
③합하는 지지는 合化된 오행의 작용력도 참조하여야 한다.
④지지합은 二支중 하나가 支沖을 만나면 합이 풀린다.
⑤지합이 명식중에서 서로 얽힌 경우는 월일의 합을 먼저 보고 다음에 년월의 합 또는 일시의 합의 순으로 보아간다.
⑥지지의 합은 사주 명식의 지지와 行運(대운.년운)의 지지와도 합한다.
⑦行運의 지지가 사주 명식의 지지와 합하는 경우에 그 작용은 년지에서부터 월지, 일지, 시지순으로 작용한다. 가령 行運의 지지가 午이고 명식의 년과 일에 未가 있는 경우 사주 전체의 강약 판별의 기준점에서는 년지와의 합만 보고 일지와의 합은 보지 않는다. 그러나 육친관계 등의 단식 판단시 는 참조한다.
⑧行運과 사주 명식의 합도 지충을 만나면 합이 풀린다.
(4)암합(暗合)
암합에는 두 종류가 있다.
①간과 지의 합: 지지의 정기와 합이 이루어질 때에만 암합으로 본다. 예) 丁亥, 戊子, 辛巳
丁과 亥의 지장간 정기인 壬과 丁+壬 합이 된다. 戊와 子의 정기 癸와 합, 辛과 巳의 正
氣인 丙과 합이 되는 것을 암합 이라한다.
②지와 지의 합: 지지의 정기끼리 합이 이루어질 때에만 암합으로 본다. 예) 寅丑, 卯申, 午亥, 寅未 寅의 지장간 正氣인 甲과 축의 지장간 己는 천간합이 이루어진다. 묘의 정기 乙木과 辛 금의 정기인 경금의 합, 오화의 정기인 정화와 해의 정기인 임수의 합을 암합이라 한다.
드러나 있는 천간의 합이나 드러나 있는 지지의 합은 명합(明合) 이라하고 위와같이 천간과 지지 또는 지지의 암장된 기운끼리의 합을 암합(暗合) 이라한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20 |
정음정양법 및 구성법
![]() ![]() |
老+乙 子 | 12786 | 2012.01.05 13:04 |
19 |
십이포태법원리 및 십이포태 운용법
![]() ![]() |
老+乙 子 | 6969 | 2012.01.05 12:58 |
18 |
지지의 합충변화_형,파,해,원진,공망
![]() ![]() |
老+乙 子 | 21132 | 2012.01.05 12:50 |
17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충
![]() ![]() |
老+乙 子 | 6379 | 2012.01.05 12:43 |
>>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육합및 암합
![]() ![]() |
老+乙 子 | 15353 | 2012.01.05 12:40 |
15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방합
![]() ![]() |
老+乙 子 | 14949 | 2012.01.05 12:32 |
14 |
지지의 합충변화_지지삼합
![]() ![]() |
老+乙 子 | 11861 | 2012.01.05 12:26 |
13 |
천간과 지지의 합과 제의 변화
![]() |
老+乙 子 | 13532 | 2012.01.05 12:20 |
12 |
오행의 성질과 작용_오행의 상생상극
![]() ![]() |
老+乙 子 | 13622 | 2012.01.05 12:15 |
11 |
오행의 성질과 작용_오행의 특성
![]() |
老+乙 子 | 13627 | 2012.01.05 12:04 |
10 | 오행의 종류 _홍범오행 | 老+乙 子 | 11279 | 2012.01.05 12:03 |
9 | 오행의 종류 _ 육십갑자와 납음오행 | 老+乙 子 | 7801 | 2012.01.05 12:02 |
8 |
오행의 종류 _천간과 지지
![]() ![]() |
老+乙 子 | 12054 | 2012.01.05 12:01 |
7 | 역의 기본원리_육십사괘 | 老+乙 子 | 10290 | 2012.01.05 11:57 |
6 | 역의 기본원리_사상과 팔괘 | 老+乙 子 | 3842 | 2012.01.05 09:59 |
5 |
역의 기본원리_선천괘와 후천괘
![]() ![]() |
老+乙 子 | 15692 | 2012.01.05 09:43 |
4 |
역의 기본원리_하도와 낙서
![]() ![]() |
老+乙 子 | 15681 | 2012.01.05 09:40 |
3 | 역의 기본원리_음양오행 | 老+乙 子 | 10117 | 2012.01.05 09:31 |
2 |
역의 기본원리_음양오행의 개요 및 태극
![]() ![]() |
老+乙 子 | 12706 | 2012.01.05 09:30 |
1 |
진리는 아주 쉬운곳에 있다
![]() ![]() |
老+乙 子 | 9252 | 2011.12.19 14: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