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음정양법
8. 정음정양법 (淨陰淨陽法)
나경패철에 있는 24방위를 팔괘(八卦)에 배속시켜 팔괘의 음양을 가리는 것을 정음정양법(淨陰淨陽法)이라고 한다.
나경패철의 24방위는 임(壬), 자(子), 계(癸), 축(丑), 간(艮), 인(寅), 갑(甲), 묘(卯), 을(乙), 진(辰), 손(巽), 사(巳), 병(丙), 오(午), 정(丁), 미(未), 곤(坤), 신(申), 경(庚), 유(酉), 신(辛), 술(戌), 건(乾), 해(亥)다.
이를 팔괘(八卦)에 배납(配納)하면 다음과 같다.
건(乾)과 갑(甲)은 동궁(同宮)으로 건괘(乾卦,☰)가 된다.
곤(坤)과 을(乙)은 동궁(同宮)으로 곤괘(坤卦,☷)가 된다.
간(艮)과 병(丙)은 동궁(同宮)으로 간괘(艮卦,☶)가 된다.
손(巽)과 신(辛)은 동궁(同宮)으로 손괘(巽卦,☴)가 된다.
태[유]정사축<兌[酉]丁巳丑>은 동궁(同宮)으로 태괘(兌卦,☱)가 된다.
진[묘]경해미<震[卯]庚亥未>는 동궁(同宮)으로 진괘(震卦,☳)가 된다.
이[오]임인술<離[午]壬寅戌>은 동궁(同宮)으로 이괘(離卦,☲)가 된다.
감[자]계신진<坎[子]癸申辰>은 동궁(同宮)으로 감괘(坎卦,☵)가 된다.
팔괘 중에서 가운데 효(爻)를 뺀 다음, 아래 효와 위 효의 음(





20개(1/1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20 | 개요_풍수지리의 역사와 서적 | 老+乙 子 | 8688 | 2012.01.03 20:52 |
19 | 개요_동기감응론 | 老+乙 子 | 7512 | 2012.01.03 20:51 |
18 | 개요_형기론과 이기론 | 老+乙 子 | 7972 | 2012.01.03 20:50 |
17 | 개요_풍수지리학 개요 | 老+乙 子 | 7903 | 2012.01.03 20:49 |
16 | 각종 음양오행의 길흉방위 | 老+乙 子 | 8024 | 2011.12.22 09:24 |
15 |
구성법
![]() ![]() |
老+乙 子 | 8710 | 2011.12.22 09:24 |
>> | 정음정양법 | 老+乙 子 | 7628 | 2011.12.22 09:20 |
13 |
십이포태법
![]() ![]() |
老+乙 子 | 4017 | 2011.12.22 09:19 |
12 | 둔월 둔시법 | 老+乙 子 | 8667 | 2011.12.22 09:17 |
11 | 육친법 | 老+乙 子 | 7986 | 2011.12.22 09:16 |
10 |
음양오행의 상생상극
![]() ![]() |
老+乙 子 | 6739 | 2011.12.22 09:15 |
9 | 오행의 합충살형 | 老+乙 子 | 6251 | 2011.12.22 09:13 |
8 | 60갑자와 납음오행 | 老+乙 子 | 5902 | 2011.12.22 09:12 |
7 | 오행의 종류 | 老+乙 子 | 3621 | 2011.12.22 09:10 |
6 |
낙서와 구궁도
![]() ![]() |
老+乙 子 | 9095 | 2011.12.22 09:09 |
5 |
하도와 낙서
![]() ![]() |
老+乙 子 | 4545 | 2011.12.22 09:07 |
4 | 주역의 해석방법(31-64) | 老+乙 子 | 3226 | 2011.12.22 09:02 |
3 | 주역의 해석방법(1-30) | 老+乙 子 | 3958 | 2011.12.22 09:02 |
2 | 음양오행의 원리 | 老+乙 子 | 3548 | 2011.12.22 09:01 |
1 | 음양오행의 개요 | 老+乙 子 | 3691 | 2011.12.22 09:00 |
회원 로그인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